액션 탱크시민 기자회견

[신문기사-조선일보]광우병 시위 주도자 “당시 팩트엔 관심 없었다, 오염수 괴담도 판박이

• 글쓴이: 공정언론  
• 작성일: 2023.07.04  
• 조회: 299

[괴담의 사회비용]
민경우 대안연대 대표 인터뷰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남측본부 사무처장을 10년간 맡았던 민경우 대안연대 대표가 6월 26일 오후 여의도의 한 카페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가지고 있다. /이태경기자

서울대 인문대 학생회장 출신으로, 이적(利敵) 단체인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남측본부 사무처장을 10년간 맡았던 민경우 대안연대 대표는 26일 인터뷰에서 “옛일을 곱씹어 보고 반성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2007~2008년 한미 FTA 범국민운동본부 정책팀장을 맡아 광우병 사태 선동의 최전선에 있었다.

민 대표는 당시를 회상하며 “광우병에 대해, 팩트에 대해 회의를 한 적이 없다. 이명박 정권 퇴진에 어떻게 쓰일 수 있는가 하는 차원에서만 얘기가 오갔다”고 했다. 처음부터 목적은 ‘이명박 퇴진’이었다는 고백이다. 이어 “정무적 판단이 전문가의 판단보다 우위에 있다는 세계관을 가진 게 운동권들이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무엇인가를 물어본다는 생각 자체가 없었다”고 했다.

당시 한미 FTA 범국민운동본부는 ‘반미(反美)’를 고리로 진보연대와 참여연대가 주축이 된 조직이다. 민 대표는 “진보연대는 소위 주사파들 또는 민중운동 조직들의 연합체고, 참여연대는 좌파 시민 단체를 대표해 들어왔다”며 “이 둘이 합해진 것이니 모든 진보 세력, 특히 386이 다 모였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당시 진보 정권이었던 노무현 정부가 몰락하고 이명박 대통령이 막 집권했던 시기라 이에 대한 적개심이 대단했었다고 한다.

2008년 광우병 폭력 집회 - 2008년 6월 28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에서 시위대가 인근 빌딩 소화전과 소방호스를 이용한 ‘사제 물대포’를 경찰에 쏘고 있다. /전기병 기자
2008년 광우병 폭력 집회 - 2008년 6월 28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에서 시위대가 인근 빌딩 소화전과 소방호스를 이용한 ‘사제 물대포’를 경찰에 쏘고 있다. /전기병 기자

간첩 혐의로 감옥까지 갔던 그는 광우병 시위 이후 회의감을 느끼고 운동에서 손을 뗐다. 한미 FTA 운동본부 정책팀장을 맡으면서 경제 보고서들을 열심히 들여다본 것이 오히려 극단적 좌파 진영에 대한 회의만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민 대표는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를 봤는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일본 반도체 기업의 영업이익 전부를 합친 것보다 크다는 결과를 접하고는 충격을 크게 받았다”며 “그 전엔 단순히 매판자본(買辦資本)이라고만 생각했었다. 내가 알던 세계에 금이 갔다”고 했다.

관련 기사

민 대표는 “광우병 시위가 끝난 후 미국산 소고기 수입액이 1조원을 넘었다는 뉴스를 봤을 땐 고개를 숙였다”며 “그때 일을 반성한다”고 했다. 작년 기준 수입액은 3조원을 돌파했다. 그는 당시 시위 지도부 중에서도 반성하는 사람이 있냐고 묻자 “단 한 명도 없다”고 답했다. 그는 “어차피 국민 건강을 우려해 시위를 한 게 아니었다. 효과적으로 선동에 써먹었으면 나머지는 신경 쓰지 않는다”며 “운동권의 가장 나쁜 점 중 하나는 자기들이 불리한 얘기는 집단적으로 숨긴다는 점”이라고 했다.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해서는 “광우병 괴담과 판박이”라고 했다. “반(反)이명박을 위해 광우병 문제를 제기한 것처럼 이번에도 반(反)윤석열을 위해 일본을 꼬투리로 문제를 제기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광우병 사태처럼 되지는 않을 거라고 봤다. 그는 “광우병은 당시 국내에 전문가가 없었던 반면 오염수는 목소리를 내는 전문가들이 있다”며 “나도 카이스트 원자력과 교수들의 말을 신뢰한다”고 했다. “일본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이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많이 확산돼 있어 일본에 그렇게 적대적이지 않다”고도 했다. 민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이 연일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이슈화시키는 데 대해서도 “국민들이 보기엔 (민주당의) 의도가 불순하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며 “정치 지형도 (민주당에 대한 불신 때문에) 광우병 때와 다르다”고 했다.

• 전체 : 72 건 ( 2/5 쪽)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57 [신문기사-펜앤드마이크] "KBS 추적60분, 4년만에 재개한 첫 방송서 후쿠시마 괴담 부추켜"
공정언론 / 2023.07.11
공정언론 2023.07.11
56 [신문기사-뉴데일리] '후쿠시마 불안감' 키운 KBS '추적60분'의 9가지 편파적 시선
공정언론 / 2023.07.11
공정언론 2023.07.11
55 [신문기사-펜앤드마이크] KBS수신료 폐지 시대 도래한 이유는?...한전의 ‘KBS 적자 떠안기’도 중단돼야
공정언론 / 2023.07.11
공정언론 2023.07.11
54 [신문기사 -한국NGO] '편파.부실.왜곡'으로 가득 채운 KBS 추적 60분
공정언론 / 2023.07.11
공정언론 2023.07.11
53 [신문기사-글로벌이코노믹] 범시민사회단체연합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과학적 근거로 진실과 괴담 구별해야"
공정언론 / 2023.07.06
공정언론 2023.07.06
52 [신문기사-한국NGO] 범사련·공언련,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국민 대토론회 개최
공정언론 / 2023.07.06
공정언론 2023.07.06
51 [신문기사-포커스경제]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국민 대토론회 개최....'국민이 묻고, 전문가가 답하다'
공정언론 / 2023.07.06
공정언론 2023.07.06
50 [신문기사-뉴스1]국내 원자력 전문가들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없어…정부 대응 부족"
공정언론 / 2023.07.06
공정언론 2023.07.06
[신문기사-조선일보]광우병 시위 주도자 “당시 팩트엔 관심 없었다, 오염수 괴담도 판박이
공정언론 / 2023.07.04
공정언론 2023.07.04
48 [신문기사-중앙일보] (강규형이 소리내다)'내로남불' 언론노조가 장악한 공영방송 수술해야
공정언론 / 2023.07.04
공정언론 2023.07.04
47 [TV조선]"공영방송 봐주기 심의" 공언련 감사청구에 감사원, 방심위에 답변 요구
공정언론 / 2023.07.04
공정언론 2023.07.04
46 [신문기사-조선일보]‘文 비판’ 앵커 발언, 다시보기서 삭제한 KBS... 30시간만에 돌려놔
공정언론 / 2023.07.04
공정언론 2023.07.04
45 [펜앤마이크] "5-6월 가짜뉴스, 김남국 '440만원만 현금화' 가장 심각해"
공정언론 / 2023.06.29
공정언론 2023.06.29
44 [방송모니터] ‘사드 전자파 무해’ 보도는 단신...‘주민 반발’은 리포트로 키우는 KBS
공정언론 / 2023.06.29
공정언론 2023.06.29
43 [신문기사-엔지오프레스]공언련, 바른언론, 정교모 “김남국 거짓말 등...이달의 10대 가짜뉴스 발표”
공정언론 / 2023.06.29
공정언론 2023.06.29